강의 & 연구노트/디자인지식관리

디자인 지식베이스 형성의 문제점

GPIA 2010. 3. 20. 20:42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디자인에 있어서 지식베이스 형성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문제점이 있으며, 개선해야 될 사항 중에 하나이다.

    첫째, 디자인은 기술적, 경제적, 미적 등의 지식의 학제적이고 다중적인 가치를 내재하고 있 다. 이러한 모든 가치를 컴퓨터에 입력, 표현하는 방법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둘째, 디자인은 각각의 지식의 가치가 상충적 관계이거나 상호적인 관계이므로 독립적인 파악 이 어렵다. 지식이 하나의 입력 가능한 방식으로 표현화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식을 지니고 있 어야 한다. 디자인지식은 서로 상충적이거나 상호적인 관계에 놓인 경우가 매우 많으며 주관적 요 소들이 잔재하므로 그 진의를 논의하기가 매우 어렵다.

     

    셋째, 디자인지식을 계층적 지식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일반적인 지식은 계층적 관계를 이루 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계층적 관계는 규칙이 적용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관리에도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식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적이 고 상충적인 매우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계층적 지식으로 표현되는데 많은 어려 움이 있다.

     

    넷째, 대부분의 지식공학자(Knowledge Engineer)가 디자인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식공학자가 디자인에 대해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효율적인 지식표현에 많 은 영향을 끼칠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식공학자는 디자인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다. 또한 전문가로서 지식을 제공하는 디자이너 역시 지식공학자를 설득하고 이끌어갈 만한 프로그래 밍 테크닉을 갖고 있기 힘들기 때문에 지식추출에 어려움이 있다.

     

종합 고찰해 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디자인 지식베이스 고찰 및 분석 결과 디자인 지식은 형태에 따라 형식지(Explicit Knowledge), 암묵지(Tacit Knowledge)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지식변환 과정을 통해 사회화, 외재화, 결합화, 내재화 등의 상호 전환 과정을 통해 개인적인 지식에서부터 조직지식으로 발전되며 지식공유 과정을 통해서 예견지(Predict Knowledge)를 창출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 에 있어 디자인지식을 정의하고 이를 객관적 근거에 반영할 수 있는 공식적인 모델로 설계함으로 써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디자이너와 기타 전문가들 사이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창출을 가 능케 하는 전문적인 연구는 디자이너의 효율적인 과업수행과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수라는 단계 를 순차적으로 도출해내는데 있어 중요한 키워드를 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