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五行)의 원리(原理)
오행(五行)은 동양철학에서 역학(易學)에 속하는 이론이다. 우주 만물의 변화양상을 5가지로 압축해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오행은 다섯 오(五)자에 다닐 행(行)자로 구성되어 있다. 다닐 행(行)자는 걸음걸이라는 뜻이다. 우주 만물의 다섯가지 걸음걸이. 그것이 오행의 의미이다. 여기에서 걸음걸이라는 의미는 만물이 지나가는 방향, 만물의 상태가 변화하는 양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오행은 음양(陰陽)의 이론과 결부시켜 설명해야 한다. 음양의 주된 원기(元氣)인, 목, 화, 토, 금, 수(木, 火, 土, 金, 水)를 이용하여 세상의 모든 것을 엮어보는 하나의 이론인 것이다.
오행(五行)은 사람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개념에서 만물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목(木)은 부드럽고, 잘 소통되며, 뻗어나가는 성질, 화(火)는 뜨겁고, 그 기운이 위로 올라는 성질, 토(土)는 자양하며, 온후하고, 변동이 적은 성질, 금(金)은 아름답고 강하고 견고한 성질, 수(水)는 차겁고, 높은데서 낮은곳으로 흐르는 성질, 이러한 다섯가지의 성질을 나타내고 있다. 본 작품에서는 오행의 이러한 다섯가지 이야기를 표현하였다. 시작과 전개, 절정, 감퇴, 끝으로 연결되는 자연의 원리를 시작(水), 전개(木), 절정(金), 감퇴(火), 끝(土)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첫 번째, 수(水)의 이야기이다. 오른쪽의 원은 수(水) 뜻한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물의 결정체는 얼음이고, 얼음이 녹아내리는 표현을 하였다. 생성의 결정체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목(木)의 이야기이다. 목(木)은 나무를 뜻한다. 자연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생명의 표현을 표현하고 있다. 가운데 나무의 이미지는 내적인 생명을 의미하고 산위에 있는 나무는 외적인 생명을 의미한다.
세 번째, 금(金)의 이야기이다. 금은 강하고 견고하지만 또한 약함을 가지고 있다. 생명의 강인함을 표현하고 있다.
네 번째, 화(火)의 이야기이다. 왼쪽의 원의 이미지인 화(火)는 빛이 확장된 공간인 태양을 뜻하고, 태양의 이미지와 빛의 이미지를 공간으로 표현하였다. 소멸을 이야기하고 있다.
다섯 번째, 토(土)의 이야기이다. 흙에서 태어나 흙으로 가는 순환적 이미지를 작품 전체로 표현하고 있다. 가운데에 있는 공간이 토(土)의 공간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 작품은 생성에서 소멸까지의 순환적 구조를 오행의 원리를 파악해서 접근한 작품이다. 작가는 자연을 음양론(陰陽論)의 연속선상으로 보고자 아래부분의 이미지를 소용돌이처럼 표현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메타포 이미지로 접근을 하였다. 따라서 자연이라는 테마를 오행의 작품컨셉으로 전개하였다. 나무와 물, 불, 흙과 금의 메타포로 만물을 구성하는 개념적, 추상적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또한 모든 자연의 질서와 인간의 관계를 상생과 상극의 이중적 구조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화면을 이중적 구조로 분할하였고, 좌우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구분된 면은 독립된 면이 아니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표현된 것이다. 즉, 순환적 공간을 표현한 것이다.
자연오행은 음양오행의 이야기를 자연으로 풀어서 설명한 작품이다. 본 작품을 통해서 오행의 이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오행의 스토리텔링 작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자연과 인간은 하나다”
남현우작/오행의 원리/2009/60x90(cm)
이 작품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복사 및 전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