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연구노트/논문 & 연구노트

모바일뱅킹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모델 연구

GPIA 2010. 3. 31. 13:18

모바일뱅킹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념모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12.30, vol.15, No.4]

주저자 : 최 샘((주)그라텍 사원), 교신저자 : 남현우(서경대학교 교수)

+ Corresponding Author : Nam, Hyun Woo (Professor. Major of Visual Contents Design, College of Art, Seokyeong University, Email : gallerypia@hanmail.net, 010-5244-1645
 

국문초록

모바일뱅킹은 개인금융과 직결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오조작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쉽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해야 한다. 모바일뱅킹 UI를 설계할 때에는 모바일기기의 특성에 맞도록 정보를 구조화하는 정보구조 설계,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UI디자인 설계로 구성되어야 한다. 정보구조의 설계는 콘텐츠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원할하게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고, UI디자인 설계는 화면상의 구성이 사용자가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8개 은행을 대상으로 모바일뱅킹 현황분석을 통해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콘텐츠구조, 조작순서, 네비게이션, 레이아웃, 컬러, 아이콘 등 총 8가지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작순서는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6~13단계로 분석되었으며 네비게이션은 허브엔 스포크 네비게이션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화면구성은 대부분 초기화면에 모든 콘텐츠를 노출하였고 버튼디자인은 하단에 위치해 키패드와 가깝게 배치하였다. 폰트는 고딕체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며 아이콘은 좌측상단에 서비스번호, 아이콘중앙에 오브젝트이미지, 하단의 레이블링의 구조가 많았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레이블은 '예금조회/이체'로 나타났다. 컬러는 은행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컬러가 주로 사용되었고 콘텐츠의 서비스순서는 예금, 펀드, 대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8개 은행의 모바일뱅킹 인터페이스 9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값들은 모바일뱅킹 UI설계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개념모델이라 할 수 있다.

 

Key Words

Mobile Banking(모바일뱅킹), User Interface(유저 인터페이스), Usability(사용성)

 

 

A Study on Interface Design Concept Model for Mobile Banking

 

Abstract

Since the mobile banking ser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ersonal finance, the interface must be designed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results without any error. While designing the mobile banking UI, the information must be designed to effectively transfer the information and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equipment. The design of the information system organizes navigation, priority, and distribution so the information of the contests is fluently delivered to the users. UI design shows the layout, font, and color appearing on screen for the users to conveniently recognize them.

This research analyzed total of 8 difference interface components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such as content structure, operating priority, navigation, layout, labeling, font, button, color, and icon through the status analysis of the mobile banking against the 8 banks in domestic. As a result, the operating priority is analyzed in 6~13 phases per each application and the hub and spoke system is mainly used for navigation. For the screen setting, all contents are exposed in the initial screen and the button designs were located in the lower part around the key pad. The gothic font was used frequently. The service number icon was placed in the upper left, and object image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icon. The lower part consisted of labeling structure mostly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label was 'inquiry/transfer'. The colors that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bank brand were used frequently and the service priority of the content are in the order of deposit, fund, and loan.

In this research, the 9 interface component of mobile banking in 8 domestic banks are analyzed in to propose a design guideline and the data values will perform as the conceptual model required for designing the UI of mobile b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