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연구노트/콘텐츠 시스템

컴퓨터그래픽스 솔류션의 구성 요소

GPIA 2010. 3. 20. 01:32

쌀쌀한 겨울 날씨에 까만 밤을 컴퓨터와 하얗게 지샌다는 것은 어쩌면 고생스 러운 일일지 모르지만 한편으로는 아주 멋있는 일일 것이다. 아름다운 작품을 만드는 것은 멋있는 애인과 함께 지내는 것보다 더 멋진 일일지도 모른다. 생각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자, 그럼 인간의 기본적 욕망 중에 하나인 아름다움을 충족 시켜 보자.  이 글을 보는 독자들한테 될 수 있으면 앞으로의 발전성이 있는 PC Graphic Solution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우선 PC로서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 컴퓨터 장비보다는 월등히 성능 이 좋고 대용량의 컴퓨터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 문제일 것이다. 아무리 좋은 소프트웨어라도 간단한 그래픽 작업을 하는데 수작업보다 많은 시간이 걸린다면 컴 퓨터의 좋은 장점을 썩히는 일일 것이다. 여기서는 매킨토시 기종보다는 I.B.M PC 상에서 구현해 보도록 하겠다.

 


PC Graphic Solution의 필요성


Total Graphic Solution을 구축하면 디자인과 관련된 구시대적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자, 컴퍼스, 로터링 펜은 거의 자취를 감취게 된다. 또한 중간 프로세서 의 도구나 시안용 자료, 수정 자료가 컴퓨터 하나로 통합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사무실이 우선 깨끗해진다. 또한 이를 통해 크리에티브를 요하는 작업의 능률이 오르는 파급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외주 사식, 외주 렌더링 등 다 양한 프로세서가 하나의 개념으로 묶여 일관적인 작업을 구현시키고 있다. 물론 디자인 내용면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남을 수도 있겠지만 첨삭기능을 통해 다양 한 디자인 안을 얻어낼 수 있어 아이디어와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PC Graphic Solution의 구성

컴퓨터 그래픽은 하드웨어 하나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OS, 그래픽 소프 트웨어, 주변기기 등을 이용해 제작이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출력물을 얻어야 완성된다. 따라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은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스캐닝, 디자인 입력, 수정, 레이아웃, 출력 등 여러 가지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메인 시스템의 구성

* CPU의 성능은 그래픽 작업의 우선

PC의 사용 환경을 변화시키는 요인에는 PC의 CPU, 운영 체계, 응용 프로그램 등으로 볼 수 있다. 그렇지만 모든 컴퓨터의 기본 성능은 CPU의 성능을 기준으로 한다. 특히 PC에서 그래픽 작업을 할 경우 CPU의 속도는 그래픽 작업에 무척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의 PC의 동향은 고성능화의 추세에 있다. 이러한 PC의 고급화는 제품의 가 격을 낯추어 가고 있는데 이것은 저가격대의 상위 기종 PC가 시장에서 급성장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소비자들이 PC의 기능 향상과 소프트 웨어의 다양화, 주변기기의 활용도의 증대를 바라게 되자 업체들이 이러한 경향 에 부응하게 된 것이다. 한편 CPU의 성능 향상 기법으로 내부의 처리 속도를 기종의 시스템에 비하여 2배 향상시킨 스피드 더블링 기능을 채택한 오버 드라이버 프로세서의 발표는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향후 고성능 PC 시장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 최소 팬티엄 IV 정도 이상의 CPU를 장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 RAM은 그래픽 속도와 비례

대용량 저장 장치는 최근 원도우즈의 대중화와 소프트웨어들의 대형화에 의해 보다 많은 메모리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단위도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최소 256MB, 적정 512MB, 최적 1GB 정도의 램을 구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용량 저장 장치의 선택

최근의 그래픽 프로그램들은 상당히 부피(용량)가 크다. 따라서 디스켓 한두장 으로 끝나는 그래픽 프로그램들은 보기 힘들다. 특히 좋은 프로그램일 수록 디스켓이 수십장이 되니 사용자들은 40GB의 하드를 가지고 있다 해도 매일 매일 모잘 라서 헉헉대는 꼴을 많이 보곤 한다. 기본적으로 40GB에서 120GB 정도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 그래픽 가속기 보드의 출현

현재 가장 많은 변화를 보여준 주변기기는 모니터와 VGA 보드라고 할 수 있겠 다.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다양화와 원도우즈 환경이 구축되면서 멀티 미디어나 그래픽을 향한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어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VGA는 앞으로 해상도, 컬러 지원수, 호환성, 성능, 가속기의 지원 여부, 24비트의 트루 컬러의 지원이 이루어져 더욱더 발전된 형태를 이 루고 있다. 사용자가 그래픽 솔루션을 구축하고자 한다면 우선 앞에서 거론된 여 러 요소들을 잘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기본적으로 해상도 면에서는 1024 X 768 해상도에 6만 5천 칼라를 지원하는 64MB  Graphic CARD와 17인치 크기를 지원하는 모니터를 구축해야 하며 좀 더 전문적인 그래픽, CAD, DTP 분야에서 활 용하고자 한다면 1600 X 1200 이상의 해상도에 168000000가지의 색상수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와 20인치 모니터 이상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필자가 추천을 하자면 1600 X 1200의 해상도에 트루컬러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와 21인치 정도의 모니터와 17인치 모니터를 가지고 동시에 작업을 한다면 상당히 유용할 것이다. VGA의 호환성은 칩세트에 따라 다른데 초창기에는 8비트였지만 현재는 16비트, 32비트, 64비트 인터페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특히, 원도우즈와 그래픽 소프트웨어 기능 향상으로 높은 해상도와 다양한 컬러 처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를 위한 그래픽 가속기가 있는 그래픽 카드와 리프레쉬율이 좋은 모니터가 있어야 한다.

입력 장치의 구성

CD-ROM은 검색성이 우수하고 소리와 영상이 결합 할 수 있는 대용량의 데이터 를 저장 할 수 있다. 그래픽 작업을 하기 위해서 Clip Art가 내장된 CD-ROM을 이 용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을 절약해 줄 수 있다.

* 스캔 작업 전문적인 그래픽 작업시에는 스캐너는 상당히 중요한 장치 중에 하나이다. 스캐너는 일반적으로 플랫배트형 스캐너와 필름 스캐너가 있고 고해상도의 드럼 스 캐너가 있다. 반사물 원고의 입력시는 플랫배드형으로 600 DPI 이상의 스캐너가 좋으며 필름 스캐너는 1000 DPI 이상의 스캐너가 필요하다.

출력 장치의 구성

* 컬러 프린터

이러한 컬러 프린팅 기술은 도트 매트릭스와 잉크젯, 열전사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도트 매트릭스는 거의 사장되었으며, 잉크젯 방식은 저가의 고품질의 출력을 할 수 있다는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열전자식은 포스트스크립트 데스크탑 컬러 프린터에 사용하는 기술로 훌륭한 컬러 채도와 포지 필름을 만들 수 있는 기능으로 업무용 프리젠테이션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 레이저 프린팅 기술은 보다 고급의 기술로 컬러 전자 사진 기술로도 불리는 것으로 프린팅시 복잡한 과정이 수반된다.

* 레이저 프린터 및 이미지 세터

레이저 프린터의 가치를 높여 주는 것 중에 하나가 포스트스크립트 기능이다. 이 포스트 스크립트는 Adobe상에서 개발한 텍스트와 그래픽이 포함되어 있는 페 이지의 외양을 기술하는 언어인 PDL의 이름이다. 따라서 이 포스트 스크립터를 채택한 레이저 프린터는 그래픽을 자유자재로 인쇄할 수 있고 글자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어 고급의 워드 프로세싱과 DTP에 유용하게 이용 되기 때문에 레이저 프린터의 성능을 좌우한다. 지난해부터 포스트 스크립터 기 능을 탑재한 레이저 프린터들이 등장하였고 올해 레이저 프린터 시장을 판가름하 게 될 것이다. 특히 이 포스트 스크립터는 고품질의 출력을 얻고자 할 경우에 상당히 유용하다. 레이저 프린트뿐만 아니라 인화지, 필름 출력기를 포함하여 여러 출력 기기에 이 언어는 유용하게 사용된다. 필히 구축해야 할 것이다. 레이저 프 린트는 간단한 경인쇄의 경우는 600 DPI 이상의 출력기에서 고급 인쇄에서는 4색 분판 필름이 가능한 1200-2400 DPI 이상의 200선 정도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인화지, 필름 출력기가 필요하다.


전문 서비스 센터의 이용


아름다운 작품, 자신의 작품을 멋있게 출력을 하고 싶은가? 위에서 거론된 여 러 출력 기기를 통해서 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크게 출력 결과물은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컬러 프린트 출력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CANON사의 CLC-500으로 400DPI의 컬러 출력물을 저렴하게 얻을 수 있으며 고해상도 터말 왁스 방식의 컬러 인화지 출력으로 거의 사진과 동일한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 인화지, 필름 출력 인화지, 필름 출력은 I.B.M 상에서는 현재 보급이 거의 안된 상태라고 봐야 될 것이다. 맥킨토시의 경우는 출력에 많은 초점을 가지고 접근하였기 때문에 상당 히 많은 전문 출력소가 생겼지만 현재 I.B.M은 그리 많은 출력소를 못 가지고 있 다. 아마도 인식률의 저조함으로 생기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된다. 인화지 출력은 2450 DPI에 200선 이상의 필름, 인화지를 출력할 수 있다.

* 컬러 슬라이드 출력 컬러 슬라이드의 경우는 파일 형식을 TIF, TGA, JPEG으로 가져가면 4K 이상의 해상도로 출력을 받을 수 있다. 최대 16K(16,000pixel)까지 출력을 받을 수 있으며 질 또한 아 주 우수하다.

자, 그렇다면 출력소로 제작된 파일을 들고 찾아가 보자. 출력소가 밀집한 곳 은 바로 서울에서는 충무로를 손꼽을 수 있다. 맥킨토시 파일의 경우에는 손쉽게 문제없이 출력 서비스를 대행 받을 수 있으며 I.B.M에서는 그리 손쉬운 문제는 아니지만 전문 출력소로 가서 출력을 해야 한다. 그러나 Total Graphic Solution을 구축한다면 직접 사무실에서 고급 분판 필름 과 그래픽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미 몇몇 군데의 사무실에서 I.B.M을 사용하고 있고 맥킨토시 기종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더욱더 좋은 성능의 Graphic Solution을 구축하고 있다. 이때 필요한 장비는 팬티엄 III 이상의 시스템과 이미지(인 화지, 필름) 출력기와 스캐너 등의 장비가 필요하고 네트워크의 구성 및 호환 프 로그램의 합리적 적합성 등이 중요하다. 물론 이것만으로 모든 것이 다 되는 것 은 아니다. 그래픽 하드웨어의 솔루션이 구축되었다 하더라도 소프트웨어적인 솔 루션이 구축이 안되고 적절한 교육이 없다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맺음말

짧은 지면 관계로 많은 것을 논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이미 알고 있는 사용자들한테는 복습하는 기분으로 검토를 하기 바라고 초보에 계신 분들은 좋은 지침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