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남현우]
콘텐츠 타이틀을 만드는 것은 쉬운듯 하면서도 어려운 작업이다. 여기서는 비디오, 사운드, 이미지와 텍스트에 대한 아래의 툴과 기술, 팁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비디오 활용기법
비디오 클립은 작은 윈도우를 통해서 보여지게 된다. 이러한 비디오의 시간적 인 길이는 단 몇초에서 최대 30초까지 된다. 비디오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컴퓨터에 구현하는 과정은 크게 두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비디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압축하여 해결하는 방식과 비디오 카드나 특별한 부가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거의 전적으로 이 장치를 이용하여 재생 하는 방식이 있다. 비디오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은 MPEG, Motion JPEG 등으로 나뉠 수 있다. Motion JPEG를 지원하는 많은 제품이 나와 있으며, Motion JPEG은 하드디스크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하다. 윈도우즈에서 비디오를 재생하려고 계획했다면, 몇몇의 윈도우즈 가속기가 AVI, MOV 파일을 특별한 속도로 재생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두 자. PC에서 codec을 이용하면 압축율이 25:1까지 가능하다. 이는 색상값에 따라 100MB 크기를 4MB로 줄일 수 있다. Cinepak은 1배속 CD-ROM(150K/초)에서 320x240 크기의 24비트 비디오가 초당 15프래임의 속도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비디오 재생시 화면이 부자연스러우면 프레임 속도를 높인다. 그렇다고 동기 화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컴퓨터 내부적으로 오디오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프레임 시간을 이미 지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요하다면, 프레임 을 편집하고 빠르게 지나가는 슬라이드쇼처럼 느껴지도록 프레임 속도를 맞춘 다. 자연스러운 비디오가 어려우면 차라리 일부러 비디오를 멈춘다는 이미지를 주는 편이 더 좋기 때문이다.
사운드 활용기법
사운드와 음향은 가장 높은 음질을 유지하도록 여러번 녹음해 본다. 녹음한 것을 나누거나 믹스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장 좋은 음질로 녹음해둔다. 무조건 높은 음질을 추구하기보다는 목적하는 대상에 맞추어 음질을 선택한다. 그들이 전축을 이용하여 스테레오 스피커와 연결하여 사용하는지 단순히 2만원짜리 건 전지로 동작하는 작은 스피커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음질을 결정한다. 컴퓨터에 CD 오디오 (16비트 44kHz)가 부착되어 있으면 컴퓨터뿐 아니라 CD 플레이어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CD 오디오는 스트레오인 경우 분당 10MB라 는 대용량을 소모하고 CD-ROM 플레이어와 컴퓨터 사이의 모든 통로를 사용한다. 이렇게 되면 CD 오디오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디스크로부터 다른 정보를 하나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테이프 수준의 사운드 (8비트 22kHz)정도가 음악과 사운드 효과로 알맞은 선택이다. 스테레오의 경우 약 2.5MB정도 필요하고 음질 은 말그대로 소형 녹음기 수준이다. 만약 음성만을 다루거나 배경음으로 목소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8비트 11kHz의 라디오 수준이면 좋은 편이다. 혹은 8비트 8kHz 수준도 상관없다. 저 수준의 오 디오가 제품에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스테레오 경우 라디오 음질의 사운드를 원할 때 분당 1.3MB정도 필요하고 압축을 할 경우에는 4비트 IMA ADPCM을 사용하면 1/2정도로 줄일 수 있다. IMA ADPCM은 Interactive Multimedia Association Adaptive Delta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이다. 실 험적으로 압축하지 않는 8비트 사운드보다 압축한 16비트 사운드가 더 좋은 음 질을 나타낸다. 사운드 클립들은 같은 파일에 저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이 는 연속적으로 사운드가 필요할 경우 화일을 열고 닫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만들어 놓은 재생 명령을 이용하여 특정한 영역만 재생하는 것도 쉽게 된다. MIDI는 예측하기 어렵고 구식의 방법이다. 각 사운드 카드마다 MIDI 사운드를 다루는 방법이 다르고 사용자에게 실제 원하는 음을 들려주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에서 지원하는 MIDI 하드웨어 수준은 지극히 낮지만, 게임처럼 사용 하는 한줄의 멜로디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각 MIDI 모듈 칩마다 독 자적인 사운드를 개발하고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원하는 소리 를 그대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그러나, MIDI의 가장 큰 장점인 파일 크기가 작다.
그래픽 활용기법
3D 모델링이나 애니메이션을 한다면 미리 만들어져 있는 모델링 데이타를 이 용하여 랜더링하는 것이 편하다. 모델을 처음부터 새로 작성한다면 거기에 투자 되는 시간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디지타이징과 사진 저장에 Photo CD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바로 지금이 이를 사용할 적기이다. 그래픽 편집 툴은 상당히 다양하고 그 수준차이도 크다. 그래픽 작업시에는 계층별 작업 계획을 세워야 한다. 배경, 물체, 레이블로 계층을 나눌 수 있다.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미디어는 특히 각자의 미적 감각으 로 만들어야할 부분이다. 데이타베이스를 새로 만들거나 기준의 데이타베이스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때에는 디자이너는 첨가해야할 요 소를 가지고 있는 파일이 어떤 것인지 빨리 찾아야 된다. 사용하기 쉬운 공통적 인 그래픽을 만드는데 있어서 계층별 작업은 기존의 그래픽에 새로운 계층을 간 단하게 얹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면을 구성하는 그래픽 프레임을 생각해 보자. 텍스트 박스, 그래픽, 비디 오, 화면 컨트롤등을 배치하거나 합쳐서 사용하게 된다. 팔렛트 문제를 해결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모든 이미지에 공통으로 해당되는 표준의 팔렛트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그래픽과 비디오에 공통으 로 적용한다. 이렇게 되면 팔렛트 문제를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어진다.
'강의 & 연구노트 > 콘텐츠 시스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릭터 디자인 : 이것만을 알고 시작하자! (0) | 2010.03.20 |
---|---|
터치스크린 무인안내시스템을 만들어 보자. (0) | 2010.03.20 |
콘텐츠 관련 저작 도구 (0) | 2010.03.20 |
동영상의 구현 원리 (0) | 2010.03.20 |
음향 처리의 구현 (0) | 2010.03.20 |